생태 이야기

한해 두번 꽃피는 식물

눈솔-강판순 2022. 11. 27. 16:34


한해에 두번이나 꽃을 피우는 나무가 있다. 그 이름이 위성류라 한다. 잘 자라지도 않는다는 그 나무 30cm 높이를 하나 사서 앞 마당에 심었다. 그 놈이 언제 클까?

INDICA 인용) 위성류(渭城柳, 영어/ salt cedar)는 한해 두번 꽃을 피운다. 전해지는 얘기로는 당나라 현종의 처 양귀비(楊貴妃)가 이 꽃을 아주 사랑하여 정원에 심어 놓고 즐겼다고 한다.
성경에서는 '에셀나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아브라함은 브엘세바에 에셀나무를 심고, 그곳에서 영원하는 하느님이신 주님의 이름을 받들어 불렀다.(창세기 21:33)"

위키) 위성류는 중국 원산으로, 한국 중부 이남의 인가 근처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이며 높이는 5m 정도이다. 가지는 가늘고, 밑으로 처진다. 잎은 어긋나며, 회록색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은 1년에 2번 피고, 연분홍색, 가지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봄철의 꽃은 늙은 가지에서 나오며, 크지만 무결실이다. 여름철의 꽃은 햇가지에서 나오고, 작지만 결실을 맺는다. 꽃잎,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 씨방은 3개, 암술대는 곤봉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씨에 털이 있다.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위성류, 2011년 6월 2일 구례 운조류

그런데 위성류만 한해에 두번 꽃을 피울까? 칠자화도 두번 피운다는데...

 

칠자화: 8~9월에 흰꽃을 피우며, 꽃이 지고나서 붉게 익는 꽃받침이 마치 다른 꽃을 피운 듯하다. 1907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희소성으로 중국에서 2급 국가보호식물이다. 높이 4~8m까지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성장이 아주 빠른 속성수.

춘추벚꽃: 쿠키뉴스) 청양읍 군량리 고운식물원 인근에 봄가을 두 번 피는 ‘춘추 벚꽃’이 개화해 색다른 즐거움을 주고 있다. 3~4월과 9~11월 꽃을 피우는 이 벚나무는 우리나라 토종을 개량한 것이다. 눈처럼 흰 꽃이 특징.

솜나물(토종 에델바이스)은 한해에 꽃을 두번 피운다. 한번은 4월에, 한번은 9월에... 봄에는 붉은 꽃봉오리로 벙글다가 활짝 피면 점차 흰 꽃으로 바뀌고, 가을에는 길게 자란 꽃대 끝에 폐쇄화(닫힌꽃)가 달려 자가수정하고 만다. 
제비꽃도 여름.가을철에 작은 꽃대를 올려 닫힌꽃을 피운다.
이들은 보통 건조하거나 온도가 낮을 때, 빛이 부족할 때 번식을 위해 폐쇄화로 씨앗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즘들어 3~4월에 개화했다가 (본디 여름에 피는 함박꽃 말고) 여름에 다시 피는 목련이 더러 있는데, 이는 기상 이변 때문이라 추정하고 있다. 또, 가을에 산철쭉이나 개나리가 부분 개화한 이유는, 잎이 다 떨어지고, 개화에 필요한 수분 환경과 온도 조건(비교적 따뜻한)이 갖추어지면 꽃을 피울 수 있었기 때문이라 보고 있다.

 

-----------------
호미정원/ 한해에 여러본 꽃을... (발췌)
...일년에 여러번 꽃피우는 식물하면 대표적인 식물이 장미라고 할 수 있겠지요. 장미에도 여러 종류가 있기때문에 다 여러번 꽃을 피우지는 않습니다.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 품종이나, 'English Shrub Rose', 많은 수의 '덩굴 장미'는 플로리번다(Floribunda) 장미와 달리 한 번만 꽃을 피웁니다. 반면 낙아웃장미(Knockout Rose)로 대표되는 플로리번다 장미는 봄부터 늦가을까지 쉬지 않고 꽃을 피웁니다. 장미는 너무 흔한 꽃이라 쉽게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쉼없이 아름다움을 선사해주는 장미를 보고 있노라면 이래서 꽃의 여왕이라고 불리는구나 느낄 때가 많습니다.
여러해살이와 한해살이의 사이에 두해살이 식물이 있지요. 디지탤리스나 접시꽃같은 경우 일년에 여러번 꽃을 피웁니다. 꽃이 지고 난 후에 꽃대를 잘라주면 그 옆에서 새로 꽃이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해살이 식물 중에는 일년 내내 꽃을 피우는 것들이 많습니다. 우리가 화원에서 흔히 보는 팬지, 피튜니어, 제라늄(실은 펠라고니움)등은 봄부터 가을까지 쉬지 않고 꽃을 피웁니다. 일부의 품종은 진 꽃을 잘라주지 않아도 계속 꽃을 피우도록 육종이 되었지만, 대부분 진 꽃을 잘라주어 씨가 맺지 않도록 해야 식물은 종족보존을 위해 죽기 직전까지 꽃을 피우는 노력을 합니다. 어떻게 보면 식물에게 좀 가혹한 행동같기도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