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비대위가 거의 좌파에서 활동하다 전향해서 어느정도 좌편향되고 또 인기위주인 것 같아 조금 근심스럽다. 어벙한 김형동도 근심스럽고, 특히 김예지 같은 애는 경계해야 할 것이다. 힘있는 원로 두분 정도는 모셔야 마땅했었다.
===========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 인선 발표...김예지·김경률·박은식 등 11명
한국일보 2023.12.28 김민순 기자
국민의힘이 28일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함께 내년 총선에 당을 이끌 비대위원 후보 명단을 발표했다. 당연직인 윤재옥 원내대표와 유의동 정책위의장을 제외한 현역으로는 김예지 의원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민경우 수학연구소 소장과 김경률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 구자룡 변호사, 장서정 돌봄·교육 통합서비스 플랫폼 대표, 박은식 상식과 정의를 찾는 호남대안포럼 대표, 윤도현 SOL(자립준비청년 지원) 대표, 한지아 의정부을지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까지 한 위원장을 포함해 총 11명으로 꾸려졌다.
박정하 수석 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한동훈 비대위' 인선을 발표했다. 국민의힘 당헌 96조에 따르면 비대위는 위원장 1명과 당연직인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을 포함해 전체 15명 이내로 구성한다. 이날 당연직 위원을 제외한 현역 의원으로는 김 의원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한 위원장은 전날 "(비대위원을) 정치인 위주로 할 거라면 내가 이 자리에 나와 있는 게 이상한 일"이라며 비정치인 출신 중심의 인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비대위원 후보들은 29일 전국위원회에서 추인을 받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비대위 체제로 정식 전환된다. 추인 이후 한 위원장은 비대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인선 배경을 설명할 계획이다.
===========
동아일보) 김형동: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에 당내 노동 전문가 김형동 의원(경북 안동·예천)을 임명. 1975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김 의원은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노총에서 법조인으로 활동, 문재인 지지발언, 탄핵찬성 발언,
지난해 초 이준석 지도부 수석대변인, 김기현 지도부에서는 당 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조선족 출신 부인 결혼 10년 넘도록 중국 국적 유지, 장인은 연변 부시장 지낸 중국 공산당 고위간부 소문
-------------------
윤재옥 원내대표와 유의동 정책위의장은 당연직 비대위원으로 포함
===========
김예지 의원: 1980년 생, 21대 비례 국회의원,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유승민 캠프에서 활동, 전장연시위 지지, 동성결혼 법제화 발의, 간호법 찬성
민경우 수학연구소 소장: 1965년 서울 생, 범민련 남측 사무처장, 민주노동당, 주체사상 회의감, [진보의 재구성] 출판, 안철수 지지, 문재인 정부 비판, 노인 폄훼발언 문제안됨(언론왜곡), 자진사퇴*
김경률 경제민주주의21 공동대표: 1968년 해남 생, 공인회계사, 참여연대 공동집행위원장, 경제금융센터 소장
구자룡 변호사: 1978년 서울 생, 법조인
장서정 돌봄·교육 통합서비스 플랫폼 [자란다] 대표: 45세, 홍익대 시각디자인,
한지아 의정부을지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45세,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장애인건강증신 센터장, WHO 본부 담당관
박은식 상식과 정의를 찾는 호남대안포럼 대표: 39세 광주 생, 내과 전문의, 보수논객
윤도현 SOL(자립준비청년 지원) 대표: 21세, 18년간 보육원 생활, 유한대 복지학과 재학
*대한노인회가 민경우 발언을 문제삼다. 대한노인회는 복지부 산하 사단법인. 국가충정은 외면하고 쳐먹을 거만 밝히는 곰팡이같은 이익단체, 왜 자생적 경로당보다 못한 공익의 단체를 보호하는가?
▲ 국민의힘이 28일 비상대책위원 인선안을 발표했다.
(윗줄 왼쪽부터) 김예지, 민경우, 김경률, 구자룡.
(아랫줄 왼쪽부터) 장서정, 한지아, 박은식, 윤도현. <연합뉴스>
'정치와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지 바가지를 분석하자 (1) | 2024.01.03 |
---|---|
선거부정과 여론조사 (0) | 2024.01.01 |
연설같은 연설? (1) | 2023.12.26 |
이런 세상이 와도 되는가? (1) | 2023.12.18 |
국힘당 진단 (0)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