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와 생물 다양성
◎ 생태계(EcoSystem)
○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와 주변의 무생물 환경
○ 생태계안의 유기체는 먹이그물을 통해 연관
생산자, 1차소비자, 2차소비자, 분해자 ∞
○ 버릴 것 없이 무한 순환되는 無爲의 야생
◎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 유전자 다양성: 개체생물의 유전자
○ 생물종 다양성: 동물∙식물∙미생물 종의 수
○ 생태 다양성: 환경요인과 어울린 생태 구성요소
☆장자의 無用之用: 어떤 사상가(혜시)가 쓸모없이 크기만 한 가죽나무를 빗대자 장자가 말하길, “비록 몸통은 울퉁불퉁하고 가지가 굽어져 쓸모는 없으나 사람들이 찾아와 그 그늘에서 쉬고, 목수가 도끼로 자르려해도 힘이 들고 쓸모없이 내버려두니, 이야말로 大用이 아닌가“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 대부분의 생물들은 생태계내에서 다른 누구도 갖지 않는 자기만의 물리적 영역과 먹이로 정의되는 생태적지위(ecological niche)에서 살고 있다. 따라서 먹이나 물, 햇빛, 서식지 들에서 다른 생물들과의 경쟁을 최소화하므로써 생존이 보장되는 구조이다. 인간도 여러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살아야만 서로 부딪치는 경우가 최소화된다
◎ 生態的地位란 생태계의 종의 지위를 나타내는 생태학 용어로서, 어떤 생태계에서 그 생물이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가리킨다. 생태적 지위는 종이나 개체군이 어떻게 자원 분배와 경쟁에 반응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같은 요인에서 달라지는지를 말한다.
◎ 생태적지위=먹이지위+공간지위
○ 먹이지위: 특정 종이 어떤 먹이를 먹는가의 문제로 군집내에서 효율적 배분을 위한 노력이 필수. 예로 어른과 새끼의 먹이가 다른 개구리와 올챙이, 애벌레와 나비 등이 더 많이 번성
○ 공간지위: 잠자고 활동하는 영역(서식지). habitat niche. 새가 날라다니는 높이가 거의 다르다. 제비꽃은 고도에 따라 종이 다르다.
○ 공진화: 밀접하게 연결된 상호의존하는 (상호) 진화
https://psk1236.tistory.com/72
'생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꽃에 대한 상식 (0) | 2024.10.04 |
---|---|
우리집 텃밭의 꽃들 (0) | 2024.09.16 |
광교산의 나무들 (1) | 2024.07.15 |
홍릉수목원 봄맞이 준비 (0) | 2024.02.19 |
진달래과 이름 혼돈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