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국화가 어떤 거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노란꽃은 산국이나 감국이고, 흰색이나 연본홍꽃은 구절초, 연보라꽃은 쑥부쟁이나 개미취 아니면 드물게 키낮은 해국이겠다. 아니면 원예종 아스타나 데이지 또는 그냥 국화류이겠지. 워낙 식구들이 많아서…
산국: 높은 산언덕이나 마을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 어느정도 목질화, 국화의 조상. 중부에 흔하고 전국 분포. 감국보다 꽃이 작다고 ‘개국화’라 불림. 줄기에 흰털이 달리고 줄기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긋나기 긴달걀꼴 잎은 깃꼴로 갈라지고 잎가에 잔톱니. 9~10월에 갈라진 가지마다 향기 강한 진노란 꽃이 우산꽃차례로 여러 송이 모여핀다. 꽃지름 1~1.5cm
감국: 높은 산언덕이나 해안가에 자라는 풀? 나무?(겨울에 줄기가 살아있다) 특히 남부에 흔하고 전국 분포. 산국보다 꽃이 크다고 ‘국화’라 불림. 전신에 흰털이 달리고 줄기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긋나기 긴달걀꼴 잎은 깃털처럼 갈라짐. 꽃이 필때면 줄기가 땅위로 눕는다. 9~10월에 진노란 꽃이 우산꽃차례로 여러 송이 모여핀다. 꽃지름 2~2.5cm
구절초: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 땅속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50cm 정도 높이로 곧게 자란다. 뿌리잎과 줄기아랫 잎은 달걀꼴로 잎밑이 반듯하거나 심장꼴이고 잎몸은 깃꼴로 깊이 갈라진다. 갈래는 다시 대개 4개로 가장자리가 약간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갈쑤록 작아지고 가늘어진다. 9~10월에 가지 끝에 꽃이 한송이씩 하늘보고 핀다. 처음 필 때는 담홍색이지만 차차 흰색으로 변한다. 9월 9일 채취한 것이 특히 (부인병)약효가 좋다 하여 이름 졌다.
쑥부쟁이: 산과 들의 약간 습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어 키워낸 튼실한 줄기는 보통 30~100cm로 허리춤까지 자라다. 새싹은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녹색을 띤다. 긴타원형 잎에는 굵은 톱니가 있고 잎은 올라갈쑤록 점차 작아지고 가늘어진다. 여름이면 가지끝마다 하늘을 보고 피기 시작하는 꽃송이들은 가을이 깊어가도록 은은한 향기를 낸다. 꽃지름 2.5cm. 꽃송이 가장자리는 자주색 혓꽃이 빙둘러 있고 가운데는 노란 통꽃이 빽빽히 들어차 있다. 쑥캐러 다니던 불쟁이딸의 이야기에서 이름붙여졌다.
국화
나무위키) 국화는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므로 원예품종이 많다. 높이 1 m 정도로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하고,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가운데는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화이다. 설상화는 암술만 가진 단성화이고 관상화는 암·수술을 모두 달고 있는 양성화이다. (감국처럼 목질화되고 있는 여러해살이 풀)
다른 꽃들과는 달리 기온이 낮은 가을 때 피는 특성 때문에 동아시아의 선인들은 은둔하면서 절개를 지키는 군자의 상징으로 여겨, 사군자의 하나로 귀하게 여겼다. 이 때문에 동아시아에선 전통적으로 음력 9월 9일은 중양절(重陽節)이라 하여 국화차나 국화전을 부쳐 먹으며 꽃놀이를 하는 명절로 삼았다.
위키백과) 국화속은 보통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겨울이면 지상부가 말라 죽으며 뿌리로 월동한다. 꽃은 두상화로 가을에 피는데 설상화(혓꽃)와 관상화(통꽃)로 되어 있다.
국화꽃의 특징
꽃이란 암술+수술+꽃잎+꽃받침+...으로 구성된 한 단위로 국화꽃은 줄기끝에 머리모양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그 꽃차례를 살펴보면 꽃밑에 꽃받침처럼 꽃싸개(포)가 받치고 가운데에 대롱모양의 (관상화) 작은꽃들이 촘촘히 피어있고 그 가장자리에 길다란 혀모양의 (설상화) 꽃들이 감싸고 있는 (수백송이 꽃들로 된) 하나의 꽃다발로서, 분명한 것은 (해바라기처럼) 그 작은 꽃마다 씨를 맺는 걸 볼 수 있다. 더러는 민들레처럼 관상화가 없거나 엉겅퀴처럼 설상화가 없는 경우도 있다.
국화과 개요
나무위키) 국화목의 한 과이다. 전 세계에 2만 3천여 종이 속해 있어, 속씨식물문에 속한 과 가운데 난초과 다음으로 종이 많다. 가장 큰 속은 금방망이속(Senecio, 1,500여종), 베르노니아속(Vernonia, 1,000여종) 등이다.
국화과는 또한 변화가 많은 과이며, 완전히 야생화가 된 외래종(귀화식물)도 많다. 대부분 초본 또는 관목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교목이나 기어오르는 식물이 되는 것도 있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역사가 가장 오랜 꽃이며, 사군자의 하나로 귀히 여겨왔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모양은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깃꼴로 되는 것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보통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두상꽃차례(머리모양~)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은 총포(꽃싸개)라고 불리는 다수의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로 때로는 암수딴그루가 된다. 꽃부리는 붙어 있으며, 그 끝은 4 ~ 5갈래로 나뉘어 있다. 꽃받침은 많은 종류에서 실 모양의 갓털(관모)로 바뀌어 있다. 수술은 때로 4개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5개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수술대의 밑부분은 꽃통에 붙어 있으며, 꽃밥은 원통 모양으로 합쳐져 암술을 둘러싸고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안에는 1개의 방이 있는데, 그 곳에 1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양성화의 암술은 보통 끝부분이 2갈래로 나뉘어 있으며, 다소 가는 털이 나 있다. 열매는 수과가 되며 벌어지지 않는데, 그 끝(암술머리)이 부리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국화과 분류(여러 분류중 하나): 두상화서
국화아과: (민들레족外는) 盤狀花는 筒狀, 乳管이 없다
1. Ambrodieae 돼지풀족: 꽃은 단성화, 민꽃잎
2. Eupatorieae 등골나물족: 잎 마주나기
3. Inuleae 금불초족: 잎에 백색 綿毛, 주변화 불분명
4. Heliantheae 해바라기족: 꽃밑에 小苞(싸개)
5. Senecioneae 솜방망이족: 總苞(꽃차례싸개)는 1列
6. Mutisieae 솜나물족: 筒狀花冠은 中裂
7. Calenduleae 금잔화족: 통상화관은 淺裂
8. Astereae 쑥부장이족: 花柱(암술대) 裂片이 편평, 넓다
9. Anthemideae 국화족: 화주 열편이 선형-장타원형
10. Cynareae 엉겅퀴족: 총포(꽃차례싸개)가 여러층으로 복와(기와포갬)상, 가시모양, 주변화 없음
민들레아과:
11. Lactuceae 민들레족: 꽃은 모두 舌狀, 유관이 있다
용어해설
꽃=꽃받침+꽃잎+수술+암술(+씨방+밑씨)
盤狀花: 두상화서의 가장자리꽃을 제외한 관상화 (반.주변화)
=管狀花(대롱꽃): 두상화서 가장자리(혀꼴)꽃를 제외한 통모양 筒狀花
cf. 筒狀花冠: 꽃잎의 일부나 전부가 서로 붙어 있는 화관. 나팔꽃 등
乳管(젖관): 휘발성 기름성분인 정유를 분리하는 관
綿毛(솜털): 잎이나 열매에 붙은 부드러운 털
總苞(꽃차례싸개): 잎이 변하여 열매 밑둥을 싸고있는 비늘 조각
小苞(작은꽃싸개>꽃작은싸개): 보통의 포보다 작은 포, 낱꽃 밑에 있다
裂片: 식물의 잎이나 꽃잎이 찢거진 낱낱의 조각
淺裂: 얕게 갈라짐 (가라진 깊이가 주맥까지의 1/2이하)
葯(꽃받침): 꽃받침 조각의 복합어
'생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 다양성 해설 (0) | 2024.09.20 |
---|---|
우리집 텃밭의 꽃들 (0) | 2024.09.16 |
광교산의 나무들 (1) | 2024.07.15 |
홍릉수목원 봄맞이 준비 (0) | 2024.02.19 |
진달래과 이름 혼돈 (0) | 2023.05.03 |